자유게시판

참여마당-자유게시판 게시물이며, 작성자, 제목, 내용, 파일 등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작성자 유병택
제목 名醫 신연당 劉以泰 선생의 발자취
내용 신연당 劉以泰 선생의 발자취
名醫 劉以泰

글쓴이: 初階/崔明宇

조선 숙종 때의 사람인 유이태(劉以泰)의 자는 백원이요 호는 신연으로서 문양공 유전의 후손이다.
일찍이 거창군 위천면에서 태어나 남다른 재주와 총명을 갖고 의학에 통달하였다.
뒤에 생초면 신연리에 옮겨 살았는데 천하의 명의로 이름이 나자 생초면 신연리 본댁으로 나라에서 급히 연락이 왔다.
청나라 고종이 중병을 앓게 되어 조선의 명의 유이태를 찾는다는 것이다. 이에 두 달의 기한으로 청나라로 왕진을 가게 되었다. 불편하였던 그 당시의 교통 사정으로 겨우 청나라에 이르러 고종의 병을 진맥하여 보니 청문창이라고 하는 두창이었다. 이 병은 남등창 여발저라고 하여 당시의 의술로서는 좀처럼 고치기 어려운 부스럼의 일종이었다. 더구나 청나라 안의 이름 있는 명의는 거의 불러다가 보였던 오래된 병이라서 난처하였다. 진맥을 마치고 객관에 나와서 깊이 생각해보았으나 머리만 점점 무거워질 뿐 별다른 방법은 생각나지 않았다.
그럭저럭 하룻밤을 지새고 아침 밥상을 대하여 첫 술을 드는데 이상하게도 밥숟가락이 뒤집혀 상 밑으로 밥이 쏟아져버렸다. 그렇지 않아도 쓴 입맛에 이렇게 되니 식욕이 날 리가 없었다. 그냥 밥상을 밀쳐두고 깊이 생각에 잠기게 되었다. 문득 머리에 떠오르는 착상 한가지가 있어 쏟아진 밥풍을 거두고 남은 밥을 모두 합쳐서 객관의 벽에 대고 문질러서 발랐다. 자연히 벽에 붙어있는 때와 함꼐 혼합이 되었다. 그러고는 차일피일 시일을 보내고 있었는데 크게 기대를 걸고 초청한 조선의 명의가 별다른 처방도 없이 시일만 보내고 있으니 고종의 독촉은 성화같았다. 뿐만 아니라 측근에서는 무능한 의원이라 하여 논란이 분분하였다. 이럭저럭 한 달을 지내고 나니 더 이상 지체 할 수도 없게 되었다.
그때 유이태 의원은 객관의 벽에 발라 두었던 밥풀을 긁어서 모아 깨끗하게 가루를 만들었다. 이튿날 그 가루를 갖고 궁궐에 들어가서 고종의 헐어진 환부에 넣어 주었다. 다시 하룻밤을 자고 들어가 보니 그렇게 오래된 부스럼이 물기가 가셔지고 차도가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이 수일 동안을 계속함에 따라 환부는 아물러들어 남은 한 달이 다 되기도 전에 두창은 완치가 되었다. 이로써 고종은 말할 것도 없고 청나라의 온 조정이 떠들썩하게 유이태 의원을 받들게 되었다. 그리하여 두 달의 말미도 다 되어 고국으로 돌아 갈 것을 말하니 청고종은 만만치하를 아끼지 않으면서 생명의 은인인 유이태 의원에게 평생을 두고 품어온 큰 소원 한 가지를 물었다. 이에 유이태 의원은 '아무 것도 말할 것이 없다'고 하니 고종이 자기의 뜻을 사양하지 말고 한 가지만 말하라고 하므로 할 수 없이 소원을 말하였는데 '옛부터 가산이 넉넉치 못하여 선대의 산소에 석물을 갖추지 못하였으므로 이 염원이 있을 뿐입니다'라고 하였다. 그러자 청 고종이 '조상을 추모하는 정신이 갸륵하다'고 말하면서 환송하여 무사히 귀국하였다. 곧 이어서 청나라 조정에서 서둘러 3대 양위의 묘소에 석물을 갖추어 주었는데 지금도 그 석물이 그대로 전하여 오고 있다고 한다.


이런 일이 있은 후로 '낙반비벽토'의 이야기는 이 고장에 널리 전파되었는데 그 약효에 대해서도 여러 가지 화제가 무성하였다. 벽에다 밥풀을 발랐으니곰팡이가 쓸었을 것이고 그 곰팡이는 지금의 '페니실린' 처럼 향균제의 역할을 하였기 때문에 종기에 효과가 있었지 않았겠느냐 하는 이야기도 있다.
그러면 페니실린보다 몇 세기 앞선 발명이 아닌가 생각되어 그 깊은 방술에놀라움을 금할 수 없게 한다.


낙반비벽토 이야기와 비슷한 이야기도 전한다.
유이태가 청나라 고종의 부름을 받고 들어가 왕자의 병을 한 달 내로 기치겠다고 약속하고 객관에 나와서 걱정하고 누웠다가 감기가 들어서 흘러나온 콧물을 벽에 발라 말린 것을 써서 병을 낫게 하였다. 그랬더니 그 병은 사람의 골수를 약으로 써야만 낫는 병으로 알고 있던 고종이 '누구를 죽게 하여 골수를 뽑아서 병을 낫게 하였느냐'고 추궁하면서 유이태에게 살인혐의를 씌우려 하자 사실대로 이야기 하고 후한 상을 받아서 돌아왔다는 것이다.


그리고 당시에 수술이란 생각 할 수 없이 어려운 것이었는데 지금의 갈전리명주골에서 수술을 한 기록이 있다고 하니 그 의술은 놀라운 경지에 있었던것 같다. 지금은 논이 되어있는 자라설에 서서 발을 굴리면 밑이 빈 소리가 나는데 수술을 한 곳은 그 땅 밑 동굴이었다고 한다. 그리고 유이태 명이의 묘소도 이 골 안에 있다.


한번은 출행을 하게 되었는데 때는 오월의 모심는 계절이었다. 한곳을 지나가면서 보니까 사람들이 모를 심으면서 노래를 부르는데 그 중의 한 부인의노랫소리가 유난히 가냘프고 듣기 좋았다. 그런데 유이태 명의가 하는 말이 '저 여자는 필시 오래 살지 못할 것'이라 하였다. 옆에서 듣든 사람이 그 이유를 물으니 '목에 거머리가 붙어서 피를 빨아먹고 있으니 저렇게 가냘픈 소리가 나는데 언제까지 견디겠느냐'는 것이다. 그래서 그 노래 부른 사람을불러내어 사실을 물으니 '일하다가 목이 말라서 들 샘에서 입으로 물을 들여마셨더니 그렇게 되었다'고 하였다. 그래서 거머리를 제거토록 일러주고 갔다는 이야기도 있다.
명의에 대한 이름이 하도 넓게 퍼져서 전설은 의술의 범주를 벗어난 것도 더러 있다.


한번은 지리산 산골 어디를 지나가는데 울도 담도 없는 오두막집 마당에 약탕기가 놓여 있었다. 보니까 약을 달이는 것 같았고 언뜻 유이태라는 글자가 보였다. 가까이 다가가서 자세히 보았더니 약탕기를 덮은 한지에 유이태라고 쓰여 있었다. 주인을 불러서 연유를 물으니 '듣기에 유이태라는 명의가 있다는데 어디에 있는지도 모르고 돈도 없어서 그냥 초재로 풀을 뜯어 달이면서 명의의 이름이라도 적어서 효험을 빌어볼까하고 그런다'고 하였다. 보기에 하도 딱해서 '누가 아프냐'고 물었더니 과년한 딸이 병이 걸려서 위독한 지경이라고 하였다. 그래서 진맥을 해 보겠다고 하자 주인이 감사히 여겨 방으로 안내하는데 처녀는 피골이 상접하여 빈사지경에 있었다. 그런데 처녀의 병은 귀신의 장난으로 인한 것임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집주인에게 이르기를 '병을 낫게 해줄 것이니 시킨 대로 하라'고 하고는 처녀가 누워 있는 방의 모든 구멍을 하나도 남김없이 막게 하였다. 그렇게 해 놓고는 혼자서 방으로 들어가는 것이었다.
이때 처녀의 부모 생각에는 딸이 환자라고는 하나 과년한 처녀이고 의원이 나이가 들었다고는 하나 남자인데 단 두 사람만을 방에 남겨두기에는 어딘가 마음이 놓이질 않았다. 그래서 의원 몰래 문에다가 조그만 구멍을 내어서 그 곳에 눈을 대고 방 안의 동정을 살펴보게 되었다. 이때 의원이 누워있는 처녀의 양쪽 겨드랑이에 손을 넣어서 만지작거리니까 뜻밖에도 처녀의 콧구멍에서 파랑새 한마리가 날아 나와서 방 안을 빙빙 도는 것이었다. 의원이 그 새 를 잡으려고 하나 피해서 날던 새가 주인이 들여다보고 있던 문구멍으로 날아오기에 무의식중에 눈을 떼었더니 그 구멍으로 날아 나와서 어디론가 가버렸다. 그렇게 되자 처녀는 눈을 뜨고 부스스 일어나 앉아서 옷매무새를 고치는 것이었다. 이에 의원이 문을 열고 주인에게 들어와 보라고 하기에 주인이 부끄러워하면서 들어가자 의원이 말하기를 '처녀의 병은 잡귀에 의한 것인데 그 잡귀를 잡아서 없애려는 것이 그만 날아가 버렸으니 이제 낫게 될 것이다' 라고 하였다. 그때 그 처녀의 아버지가 자기의 실수를 이야기 하고는 딸의 병이 잡귀에 의한 것이면 잡귀를 놓쳤으니 언제 또 붙을지 모르는 일이므로 의원께서 데리고 가서 맡아줄 것을 애원하였다. 이에 유이태 의원은 그 청을 받아들였다고 한다.


또 한번은 어느 곳으로 출행을 하는데 반나절 가량 걸어가다가 보니까 길가에 주막이 있었다. 다리도 쉴 겸하여 주막에 들러서 술 한잔을 청했더니 주모가 술상을 들고 왔는데 관상을 보니 그 주모가 오시에 과부가 될 상이었다. 술을 마시면서 생각해보니 한 사람의 생명에 관한 일인지라 말을 해주지 않을 수가 없어서 주모에게 당장에 닥쳐올 상황을 이야기해 주었다. 그 주모가 지각이 있는 여자였던지 '그러면 면할 수 있는 방도가 없겠느냐'고 간곡히 애원하는 것이었다. 그래서 의원이 말하기를 '한 가지 방법이 있기는 한데 이 마을에서 제일 높은 장대를 구하여 그 끝에다가 남편의 두루마기를 매달아서 세워두라'고 하였다. 유이태는 그렇게 하고 길을 떠났다.
때 주모의 남편은 산에서 나무를 하고 있었다. 나무를 한 짐 다해 가는 판에 점심때가 되어서 가지고 온 도시락을 먹을 량으로 물이 있는 곳을 찾았더니 큰 바위 밑에 물이 나는 데가 있었다. 그 곳이 좋겠다 싶어 바위 밑에 앉아 도시락을 꺼내면서 마을 쪽을 바라보게 되었다. 이때 이상하게 자기 집에 전에 없던 흰 깃발이 서 있는 것이었다. 뜻밖의 일에 놀라서 더 자세히 보려고 꺼내던 도시락을 둔 채로 바위 뒤로 돌아서 높은 데로 올라갔다. 막 올라서자마자 바위가 무너져 내렸다. 겨울철에 땅이 얼었다가 해동이 되면서 바위가 움직인 것이다. 잠깐의 사이에 그런 일이 벌어지고 보니 정신이 아찔하였다. 높은데서 보니까 자기 집 마당에 무슨 커다란 깃발이 나부끼고 있었다. 도시락은 바위에 치어서 못 먹게 되었으므로 부리나케 집으로 달려 내려가서 이야기를 들어본 즉 참으로 신기한 일이 아닐 수 없었다. 그렇게 해서 그 주모는 과부 되는 불행을 모면하였다고 한다.


항간에는 이러한 이야기도 전한다.
유이태의 며느리가 젖유종에 걸렸는데 의서에 보니 젖유종에는 비녀나물을 쓰라고 되어 있었다.
파일
이전글 목록이나 다음글 목록으로 이동 하실 수 있습니다
이전글 < 주차공간 특정인 점유민원과 민원을 대하는 군청 공무원의 소극적인 태도에 대하여
다음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