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미있는 통계

재미있는 통계 게시물이며, 제목, 내용, 파일 등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제목 처음 발표된 '신혼부부통계', 맞벌이부부 출산율 낮아
내용
처음 발표된 '신혼부부통계', 맞벌이부부 출산율 낮아 1
처음 발표된 '신혼부부통계', 맞벌이부부 출산율 낮아 2
통계청에서는 저출산 주요정책 수립 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서 금년에 처음 ‘신혼부부통계’를 발표했습니다. 최근 5년 이내 혼인한 신혼부부(사실혼 관계 제외)를 대상으로 했으며, 정부 부처 및 공공기관에서 수집 ‧ 보유하고 있는 행정자료와 각종 데이터베이스를 상호 연계(인구동향, 일자리행정통계, 주택소유통계DB 등)하여 작성됐습니다.


신혼부부 절반 이상 수도권 거주, 남녀 모두 30대 초반이 가장 많아

많은 분들이 새해를 맞이하면서 저마다 새해 계획을 세웠을텐데요, 그 중 하나로 ‘결혼’을 꼽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최근 저출산이 우리 사회의 심각한 문제도 대두되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안이 무엇보다도 필요한 시기인데요, 통계청에서 금년에 처음으로 ‘신혼부부통계’(16.12.26일 발표)를 작성하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통계는 2015년 11월 1일을 기준으로 혼인신고 후 5년이 경과하지 않은 부부를 대상(사실혼 관계 제외)으로 했고, 신혼부부 기본현황은 물론 출산 및 보육, 경제활동, 주거현황 등 심층적으로 분석했습니다.

우선, 지난 5년간(‘15.11.1 기준) 혼인신고한 부부 159만 6천 쌍 중 국내에 거주하며 혼인상태를 유지 중인 신혼부부는 147만 2천 쌍 으로 조사됐습니다. 이 중 부부 모두 초혼인 경우가 80.1%인 117만 9천 쌍, 둘 중 한 명 이상 재혼인 경우가 19.9%인 29만 2천 쌍였습니다.


그렇다면, 신혼부부는 주로 어느 지역에서 신혼생활을 시작하고 있었을까요? 신혼부부가 가장 많이 거주하는 곳은 경기도로 전체의 26.4%인 38만 8천 쌍으로 나타났고, 이어서 서울이 29만 1천 쌍(19.8%), 경남 9만 7천쌍(6.6%) 순였습니다. 특히, 시도별로 일반가구의 분포와 신혼부부 가구의 분포를 비교하면, 일반가구 전체의 48.2%가 수도권(서울,경기,인천)에 거주하는 반면, 신혼부부의 수도권 거주 비중은 전체의 절반 이상인 52.3%로 높은 비중을 보였습니다.


한편, 혼인당시 신혼부부의 혼인연령을 보면 남편의 경우는 30대 초반이 40.7%, 아내는 20대 후반이 40.2%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를 혼인연령 구성으로 살펴보면 ‘남편 30대 초반 + 아내 30대 초반’’이 18.8%로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남편 30대 초반 + 아내 20대 후반’ 구성이 18.4%, ‘남편 20대 후반 + 아내 20대 후반’구성이 18.2%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밖에도 초혼 신혼부부 117만 9천 쌍 중 부부가 함께 거주하고 있는 비중은 전체의 86.3%를 차지하며, 따로 사는 부부의 53.0%는 동잉 시도 내에서 거처를 달리하는 경우로 조사됐습니다.



맞벌이 · 무주택 신혼부부 아이 덜 낳아

초혼인 신혼부부 117만 9천 쌍 중 ‘15년 11월 1일 현재 자녀를 출산하지 않은 부부는 41만 9천 쌍으로 전체의 35.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혼인한 1~2년차를 제외한 혼인 3~5년차인 부부 71만 5천 쌍 중에서는 19.3%(13만 8천 쌍)가 자녀를 출산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이를 경제활동별로 살펴보면 맞벌이 부부 중에서 자녀가 있는 비중은 57.9%로 외벌이 부부(70.1%)보다 더 낮으며, 평균 출생아 수는 0.72명으로 외벌이 부부(0.90명)에 비해 낮습니다. 또한, 주택소유 여부별로 보면 현재 무주택 부부 중 자녀를 출산한 부부 비중은 61.5%로 주택을 소유한 부부(68.4%)보다 낮고, 평균 출생아 수도 0.77명으로 유주택 부부(0.88명)에 비해 낮죠.


초혼 신혼부부의 경우 맞벌이 부부는 전체의 42.9%에 해당하는 50만 6천 쌍으로, 최근 혼인한 연차 일수록 맞벌이 비중이 높았습니다. ※ (혼인 5년 차) 39.7% → (혼인 3년 차) 40.6% → (혼인 1년 차) 50.0%

한편, 신혼부부의 주거 유형은 아파트가 64.7%로 가장 많았고, 이이서 단독주택 18.5%, 다세대주택 10.2%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무엇보다 신혼부부에게 주택마련은 쉽지 않은 문제인데요, 초혼 신혼부부 117만 9천 쌍 중 ‘무주택 신혼부부’는 57.4%(67만 6천 쌍) 수준입니다.

우리 사회는 저출산으로 인해 이제 생산가능인구가 크게 감소하며 ‘인구절벽’이 현실화 될 것이이라고 전망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저출산 문제가 사회 곳곳에 크고 작은 영향을 끼치고 있는데요, 새해 소망으로 젊은 세대들이 결혼을 꿈꾸는 사회, 아이를 키우고 싶어하는 사회 우리 사회가 그런 희망의 사회로 점차 변화하기를 바래봅니다.




출처: http://hikostat.kr/3156 [통통이]
파일
이전글 목록이나 다음글 목록으로 이동 하실 수 있습니다
이전글 < 처음 발표된 '신혼부부통계', 맞벌이부부 출산율 낮아
다음글 >

만족도 조사 및 컨텐츠 담당자 안내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