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미있는 통계

재미있는 통계 게시물이며, 제목, 내용, 파일 등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제목 함께 가야 빨리 갑니다! '일·가정 양립' 지표의 현주소
내용 우리나라 총 인구는 2016년 기준 5,124만 6천 명이며, 이 중 여자 인구는 2,555만 2천명으로 전체의 49.9%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절반이 여자인 셈인데요, 결혼 적령기에 접어든 많은 여성들이 한 번쯤은 결혼 이후 출산 및 육아로 직장에 대한 고민을 해보곤 합니다. 과거와 달라진 환경이지만 그래도 남성에 비해 여성의 가사 및 육아 부담이 더 큰 것이 사실이죠. 이번호에서는 일과 가족생활을 포함하여 전반적인 생활의 균형에 관한 ‘일‧가정 양립 지표’ 결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결혼 · 육아’로 직장과 멀어지는 기혼 여성

매년결혼하는 혼인건수는 감소하는 추세로 지난 2015년에 30만 3천건(전년보다 0.9% 감소)으로 나타났으며, 만혼의 영향으로 남녀의 평균 초혼연령은 각각 32.6세, 30.0세로 특히 여성은 조사이후 처음으로 30대에 진입했습니다. 초혼 연령이 높아지다 보니, 출산연령 또한 자연스럽게 증가해 2015년 합계출산율은 1.24명으로 전년(1.21명) 보다 0.03명 증가했습니다. 연령대별로는 30~34세 출산율이 2006년 이후 25~29세 출산율을 추월하면서 2015년에 116.7명으로 가장 높은 연령대로 나타났습니다. 결혼과 출산 그리고 육아와 가사까지. 여성이 주도적으로 해야 할 부분인데요 특히 직장을 다니는 경우 일과 가정생활 사이에 균형을 찾기가 쉽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이렇다보니 기혼여성에게 따라붙는 수식어 중에 ‘경력단절 여성’이라는 말이 있죠?. 2016년 4월 기준 15~54세의 기혼여성(927만 3천명) 중 취업을 하지 않은 여성은 368만 8천명으로 39.8%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연령별로는 30~39세가 53.1%로 가장 많고, 이어서 40~49세(30.8%), 15~29세(8.5%), 50~54세(7.7%) 순입니다.





여성 경력단절의 주요 사유는 ‘결혼’이 34.6%로 가장 높았고, 이어서 육아 30.1%, 임신·출산 26.3%, 가족돌봄 4.8%, 자녀교육 4.1%순으로 조사됐습니다.





남성 육아휴직자 여성 대비 17분의 1에 그쳐

여성 경력단절이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에는 여성에게 과도하게 집중된 육아와 가사노동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는데요, 2015년 육아휴직자는 8만 7,372명으로 전년보다 13.7% 증가했습니다. 이를 성별로 보면 남자는 1,453명이고 여자는 9,088명으로 남녀 모두 과거에 비해 증가세입니다.

하지만 2014년 기준 맞벌이 남편의 가사노동시간은 40분으로 아내의 3시간 14분에 비해 5분의 1수준에 그치고 있는데요, 직장에서의 근로시간이 남성이 여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더라도 가사노동이 여성에 집중되고 있음을 알 수 있죠. 지난 2015년 기준 남성의 평균 근로시간은 46.0시간, 여성은 40.4시간이었습니다.






일 · 가정 양립 제도 중 ‘출산(전후) 휴가제’ 가장 많이 알아!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중에서 무엇보다 여성들이 출산, 육아, 가사일 등에 대한 부담이 줄어드는 환경이 마련되어야 할텐데요, 그래서 정부에서는 ‘일 · 가정 양립’을 지원하는 제도를 시행중입니다. 2015년 국민의 86.0%가 이에 대해서 알고 있다고 답했고, 이 중 ‘출산(전후) 휴가제’에 대한 인지가 가장 높았습니다. 이어, ‘육아휴직제(77.3%)’, ‘배우자출산휴가제(68.6%)’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제도를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도입해야 하는데요, 2016년 기준 기업의 일·가정 양립 제도 도입비율은 ‘출산휴가’가 80.2%로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배우자 출산휴가가 60.8%, 육아휴직제도 58.3% 입나다. 특히 300이 이상의 중견기업 일수록 ‘가족돌봄 휴직제도’를 65% 이상 도입하는 등 일·가정 양립과 관련된 제도를 대부분 도입하고 있었습니다.

기업과 직원 모두 '일·가정 양립제도'의 적극적이고 올바른 사용을 통해서 경력단절 여성이 감소하고, 남편도 육아를 위해 눈치보지 않고 직장과 잠시 멀어질 수 있는 사회 분위기가 정착되기를 기대해 봅니다.







출처: http://hikostat.kr/3157 [통통이]
파일
이전글 목록이나 다음글 목록으로 이동 하실 수 있습니다
이전글 < 처음 발표된 '신혼부부통계', 맞벌이부부 출산율 낮아
다음글 >

만족도 조사 및 컨텐츠 담당자 안내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