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주거형태·주거비 부담수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저소득층의 주거비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소득인정액이 기준중위소득 45%이하인 가구입니다.
1인 가구 | 2인 가구 | 3인 가구 | 4인 가구 | 5인 가구 | 6인 가구 |
---|---|---|---|---|---|
790,737원 | 1,346,391원 | 1,741,760원 | 2,137,128원 | 2,532,497원 | 2,927,866원 |
급여신청 시 ①소득·재산 조사 ②임대차계약관계 등 주택조사를 거쳐 해당가구에 지원됩니다.
읍면동
시·군·구
시·군·구
시·군·구
타인의 주택 등에 거주하는 임차가구에게는 기준임대료를 상한으로 수급자의 실제임차료를 지원합니다.
※ 기준임대료와 실제임차료 중 적은 금액을 지급
※ 수급자의 소득인정액이 생계급여 선정기준을 초과하는 경우는 자기부담분을 차감
최저주거기준을 고려하여 지역별·가구원수별로 산정
구분 | 1급지(서울) | 2급지(경기·인천) | 3급지(광역시·세종) | 4급지(그 외) |
---|---|---|---|---|
1인 가구 | 266 | 225 | 179 | 158 |
2인 가구 | 302 | 252 | 198 | 174 |
3인 가구 | 359 | 302 | 236 | 209 |
4인 가구 | 415 | 351 | 274 | 239 |
5인 가구 | 429 | 365 | 285 | 249 |
6~7인 가구 | 504 | 430 | 331 | 291 |
임대차계약서의 보증금과 월차임을 합하여 산정
주택 등을 소유하고 그 집에 거주하는 자가가구에게는 구조안전·설비·마감 등 주택의 노후도를 평가(경·중·대보수로 구분)하여 종합적인 주택개량을 지원합니다.
구 분 | 경 보 수 | 중 보 수 | 대 보 수 |
---|---|---|---|
수선비용 | 457만원 | 849만원 | 1,241만원 |
수선주기 | 3년 | 5년 | 7년 |
수선예시 | 도배, 장판 등 | 오·급수, 난방 등 | 지붕, 욕실 및 주방개량 등 |
구 분 | ①생계급여 기준금액 이하 | ②생계급여 기준금액 초과 | ③중위소득 35% 초과 |
---|---|---|---|
수선비용 | 100% 지원 | 90% 지원 | 80% 지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