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홈
사이트맵
통합검색
통합검색
통합검색
통합검색
검색 분야를 선택하세요
통합검색
직원/업무검색
민원서식
검색어 입력
인기검색어
1
청사안내도
0
2
행정조직도
120
3
산청약초관
0
4
6월 문화행사
2
5
축제
0
통합검색 닫기
산청군청 바로가기
메뉴
메뉴 닫기
보건의료원안내
인사말
연혁
조직도
직원안내
오시는길
보건지소 및 보건진료소
부서업무안내
진료/민원안내
진료안내
의료진안내
검진안내
진료장비안내
제증명발급
약제 및 검사 비급여 항목
의료기관·의약업소 신고
민원서식안내
건강도우미
예방접종
감염병예방
결핵이란?
급성감염병관리
성병이란?
식중독예방안내
구강보건
무료치면세마사업
학교구강보건실운영
치아홈메우기
불소겔도포
구강보건교육
불소용액양치
구강보건의 날 행사
방역소독
살충, 살균소독
모기유충구제 사업
계절별 방제 사업
분무소독/연막소독 비교
소독 의무대상시설 관리
의무대상시설 소독횟수
인허가 항목
응급처치법
농약 중독
버섯 중독
쇼크
심장 마사지
심폐소생술 방법
약물중독 처치
자동제세동기 설치현황
아토피 피부염
자가진단프로그램
보건사업안내
건강증진
금연사업
영양플러스사업
모자보건사업
건강생활실천통합건강증진사업
한의약 공공보건사업
지역아동센터 건강주치의제
건강플러스 행복플러스 사업
예방의약
감염병예방사업
건강지원
맞춤형방문건강관리사업
희귀/난치성질환 의료비지원사업
암관리사업
심뇌혈관질환사업
아토피·천식 예방관리사업
장애인 건강보건관리사업
치매관리
치매정책사업
정신건강 및 자살예방사업
지정정신의료기관 및 응급진료협력병원
검진안내
국가암 조기검진 사업
진료
구강보건사업
관내의료기관
병원
의원
약업소
한약업소
지역응급의료시설
야간 및 당번약국
참여마당
새소식
건강신문고
건강도우미
예방접종
감염병예방
결핵이란?
급성감염병관리
성병이란?
식중독예방안내
구강보건
무료치면세마사업
학교구강보건실운영
치아홈메우기
불소겔도포
구강보건교육
불소용액양치
구강보건의 날 행사
방역소독
살충, 살균소독
모기유충구제 사업
계절별 방제 사업
분무소독/연막소독 비교
소독 의무대상시설 관리
의무대상시설 소독횟수
인허가 항목
응급처치법
농약 중독
버섯 중독
쇼크
심장 마사지
심폐소생술 방법
약물중독 처치
자동제세동기 설치현황
아토피 피부염
자가진단프로그램
홈
> 건강도우미 >방역소독 >
모기유충구제 사업
모기유충구제 사업
시기
사계절
대상
모기유충서식처(정화조, 웅덩이, 생활하수유입하천, 아파트지하 등)
방법
주 5회 유충서식지조사 및 방제
사용약품
생물학제제, 곤충성장억제제(모기유충만 억제)
모기유충서식지 신고센타 운영(055-970-7532)
민원신고시 보건소 모기유충구제반 즉시 출동 방제실시※ 소량의 고인 물에서도 모기 유충이 서식하므로 고인물(소형의 인공용기, 빈깡통, 물독, 꽃병, 폐타이어, 방화수통) 등의 제거에 시민의 협조가 필요합니다.
모기유충구제의 효과와 중요성
장구벌레(모기유충) 한 마리를 잡으면 성충모기 500마리 박멸효과가 있습니다.
모기는 일본뇌염과 말라리아를 옮기는 곤충으로 사계절 중점 구제하여야 할 해충입니다.
장구벌레는 모기의 유충으로 반드시 고인물에 서식하며 7~14일 지난 후 모기가 됩니다.
성충 암모기 한 마리가 일생동안 4~5회에 걸쳐 약 200~750개의 알을 산란하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유충구제작업은 하천이나 하수도, 웅덩이 등 물 고인곳에는 유충 구제제를 정기적으로 살포하고 공터나 숲 주변에 버려진 폐타이어, 빈깡통, 페트병 등 소규모 용기에 고인물은 제거하며 웅덩이는 매몰하는 방법으로 실시하고 있습니다.
각 가정에서도 모기 유충 서식처를 찾아 제거하면 모기의 발생과 번식을 원천적으로 줄일수 있습니다.
예를 든다면 지하보일러실의 폐수저장탱크나 옥상 등에 보관하고 있는 물고인 용기에 유충구제제를 살포하거나 물을 제거하므로써 모기 발생과 번식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습니다.
담당부서 정보
담당부서
보건증진과 예방의약
전화번호
055-970-7531~3
보건증진과 예방의약 전화걸기
TOP
공공저작물 자유이용 허락 표시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