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폐소생술은 간단한 동작으로 생명을 구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방법이지만 막상 이것을 이용할 상황이 발생하면 흔히들 당황하여 효과적으로 처치를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따라서 사전에 이러한 상황에 대비하여 책을 보고 여러번 연습하여 위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기를 바란다.
심장이 멎고 4-6분 이상 뇌에 혈액이 보내지지 않으면 뇌는 산소부족에 약한 까닭에, 설령 심장이 다시 움직이기 시작해도 뇌의 활동은 원상으로 회복되지 않습니다. 이럴 때는 즉시 인공호흡과 심장마사지를 실시해도 심장으로부터 혈액을 보내 주지 않으면 안됩니다.
흉골을 압박해서 심장 안의 혈액을 밀어 내어 인공의 순환으로 뇌에 혈액을 보내는 방법이 흉골 압박 마사지입니다. 이것은 인공호흡을 동시에 하지 않으면 효과를 기대할 수 없습니다. 흉골 압박 마사지는 환자의 체위를 될 수 있는 대로 수평의 자세로 해서 실시합니다. 반 듯하게 눕힌 환자의 가슴 좌우 어느 한쪽에 자리를 잡고 한쪽 손바닥의 아랫부분을 떡바로 흉골의 하반부에 놓고 다른 한쪽 손의 손바닥을 이 손 위에 겹칩니다. 이때에 설사 손가락이 가슴벽에 닿더라도 손가락 끝에는 힘을 주지 않도록 합니다.
1초에 1회(매분 60회)의 비율로 휴골을 척추를 향해3-5㎝ 내리 누릅니다. 흉골을 찌르는 것이 아니라. 팔꿈치는 똑바로 뻗친 채 상반신의 체중도 이용해서 흉골을 수직으로 압박합니다. 이어서 손은 흉벽에 놓은채 위치를 바꾸지 말고 손힘만 완전히 뺍니다. 흉골을 압박하는 시간은 힘을빼고 있는 시간과 거의 같게 합니다. 압박 효과를 확실하게 하는 데는 환자의 몸이 침대 위 같은 데서 가라앉거나 바운드하지 않도록 심장 마사지를 하는 사이를 틈타서 바닥이 단단한 곳으로 옮깁니다. 침대 위에서 하지 않으면 안될 경우는 충분한 두께 가 있는 판자를 등 밑에 깝니다. 단 이런 것들을 조작하는데는 30초 이상 시간을 소비해서는 안됩니다.
구조자가 1명밖에 없을 경우는 흉골 압박 심장 마사지 15회, 숨을 불어 넣는 인공호흡(입 대 입, 또는 입 코의 인공호흡법)2회를 반복합니다.
구조작가 2명이면 한 사람은 중단하지 말고 계속 심장 마사지를 하고, 다른 한 사람은 5회의 흉골 압박 후에 1회의 비율로 인공호흡을 합니다. 이 경우 흉골 압박은 1초에 1회의 속도로 하고,5회째의 흉골 압박의 힘을 빼는 시점에서 숨을 불어 넣기 시작하여 환자가 숨을 다 토해 내기를 기다리지 말고 흉골 압박을 시작합니다. 구명처치를 하면서, 도중에 가끔씩 경동맥의 맥박을 짚어 보아, 흉골 압박 마사지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또 유효한 심장박동이 다시 시작되고 있는지를 살펴 봅니다. 이것은 구명처치 개시 1분 후에 반드시 하고, 그 후에도 몇 분에 1회의 비율로 합니다. 단 이 때문에 심장 마사지를 5초 이상 중단해서는 안됩니다. 환자 자신의 맥박이 1분간에 50회 이상 짚히거나, 스스로 호흡을 하게 되면 심장 마사지를 중지해도 상관 없습니다. 호흡이 약할 때는 인공호흡을 더 계속하지 않으면 안됩니다. 또 심장 마사지를 중지한 후에 다시 맥박이나 호흡이 없어지고 동공이 열리게 될 때는 심장 마사지를 다시 시작하지 않으면 안됩니다.
※ 어린아이에게는 한쪽 손으로, 젖먹이에게는 두 손가락 끝으로 1분간에 80-100회 시행합니다. 반대쪽 손을 허리 가운데 넣고 흉골 압박의 힘을 지탱하도록 합니다. 젖먹이의 흉골 압박 심장 마사지 한쪽 손바닥으로 허리를 받치고 다른 손의 손가락 끝으로 흉골의 하반부를 척추 쪽을 향해 흉골이 1,5-2,5㎝ 가라앉도록 압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