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철쑥(더위지기)

약초재배에 관한 모든것!

재배법에 관한 정보-아래의 약초이름을 클릭하시면 각 재배정보를 보실 수 있습니다.

사철쑥(더위지기)

사철쑥(더위지기)

  • 생약명 : 인진고(茵陳蒿)
  • 이명 : 애탕쑥
  • 과명 : 국화과
  • 생육상 : 다년생초본

실생법. 분주법. 삽목법. 강건한 식물이므로 재배가 용이하다. 척박하고 건조한 토양보다는 습기가 많고 기름진 토양에서 잘 자란다. 과도한 시비는 식물체를 도장시켜 도복하기 쉽다. 반 그늘에서도 잘 자란다.

적정 파종방법

종자가 결실하는 작물의 경우 실생 번식을 하여 그 종의 특성이나 기능, 또는 효능 효과 등이 현저하게 변이가 일어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실생 번식을 하는 것이 번식률도 높고, 경비도 절감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인진을 포함하여 대부분의약용작물의 경우 종자의 크기가 매우 미세하여 다루기도 어렵고, 임실율이 낮아 종자발아를 시켜 번식하는 것이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발아율이 높고 입묘가 용이한 것은 직파를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것은 육묘상에 파종하여 이식하는 것이 보통이다. 직파와 육묘이식의 발아율을 비교하였던바 산파는 휴폭 120cm, 휴고 20cm로 정지하고, 종자는 모래와 종자를 15:1정도로 섞어서(10a 당 종자 1L 기준) 고루 뿌렸으며, 육묘이식의 경우에는 휴폭 90cm, 휴고 20cm의 파종상을 만들고 위의 비율로 희석하여 고루 뿌리고, 육묘상의 경우는 피복과 무피복을 비교하였다.(파종은 모두 4월 25일)
표 1에서 보는 것처럼 직파에 비하여 육묘상 파족에서 입묘율이 더 높았고, 육모상에 있어서는 흑색차광망 1겹 피복한 처리에서 가장 높았다. 또한 육묘상과 직파의 경우 같은 무피복인데도 직파의 입묘율이 약간 떨어지는 것은 육묘상의 경우 좁은 면적에서 집약적인 관리가 가능한 반면에 직파의 경우에는 집약적 관리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입묘율이 떨어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파종 방법별로 발아 상황을 조사한 결과는 표 2에서 보는 것처럼 차광망을 피복한 경우 무피복에 대비 하여 발아시기는 1일이 빨랐고, 발아기 또한 1~2일이 빨랐으며, 파종 후 1주일 정도에 발아가 시작되어 발아기는 2주일 정도였다.

인진 발아율 조사

더위지기의 경우 화방속에 종자가 5~8개씩 들어 있으며, 이들 종자는 종자의 정선과정에서 별도로 분리하여 정선하기가 매우 어렵다. 그 크기가 길이 1~2mm, 폭이 0.1~0.3 mm 정도의 미세 종자이기 때문에 종자를 수확한 후에는 화방과 함께 섞여 있는 것이 보통이다. 일반적으로 약용작물의 발아율이 낮은 것은 이러한 이유도 작용하지만, 임실율 자체가 낮은 것이 대부분이다. 이를 구명하기 위하여 종자의 발아율을 조사한 결과 표3과 같다
시험을 위하여 반복당 100홉씩의 정선된 종자를 여과지 2겹을 깔고 물에 적신 지름 11cm의 샬레에 치상하고 실온에서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표에서 보는 것처럼 1년산 종자에 비하여 2년산 종자의 발아율이 약간 높았으며, 1년산의 경우에도 80% 이상으로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입묘율 증진을 위한 적정 피복방법 구명

입묘율 증진을 위한 육묘상의 적정 피복방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휴폭 90cm, 휴고 20cm의 육묘상을 만들고 수확한 종자(화방이 섞인 상태)를 모래 : 종자, 15:1 정도의 비율로 희석하여 고루 뿌리고, 피복 방법별로 100㎡(10×10) 내의 입묘 수를 비교하였다. 파종은 모두 4월 25일에 하였고, 조사는 이식전인 5월 하순에 하였다.
---- 표 ----
표 4에서 보는 것처럼 흑색 차광망 1겹 처리와 볏짚 피복에서 대체로 우수하였다. 특히 차광망 2겹 처리에서는 초기 발아율은 양호하였으나, 도장으로 인하여 묘가 약하여 피복제거후 고사하는 묘가 많았고, 볏짚 피복은 차광망 1겹 처리와 비슷하나 발아 후 볏짚을 제거하는 작업이 더 어렵고, 묘가 상하지 않도록 피복물을 제거하려다 보면 노력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어 차광망 1겹 피복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생각된다.

병해충 발생상황 및 방제

식물체의 건전한 생육을 유도하고, 좋은 생산물의 생산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따르게 되는 생육기나중의 병해충에 대한 발생상황 및 적절한 방제는 매우중요하다. 그러나 대다수 소비자의 인식이 농약살포에 대해서는 매우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고 더구나 그것이 약초인 경우 특히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것이 현실이다. 인진(더위지기)의 경우 생육기간 중 특별히 문제될 만 한 병해충은 조사되지 않았고, 다만 2년차 이상의 경우 생육초기 진딧물의 발생이 많았으며 이것은 이 식물체의 생육 초기인 초봄에 다른 기주식물이 없는 상태에서 일찍 발아가 되기 때문에 이 식물체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진딧물의 발생 시기가 1차 수확기하고 맞물려 있어 농약 살포에 의한 진딧물의 구제는 어려운 상태이고, 식물체 수확 후 1차 건조과정에서 진딧물들이 모두 식물체로부터 이탈하여 탈추하기 때문에 전혀 문제가 없다.